누리호, 실용위성발사체로 성공적으로 발사
국산 발사체 누리호가 실용위성발사체 데뷔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인공위성을 목표궤도에 성공적으로 배치해 한국의 우주수송 능력을 입증했다. 또한 발사 과정에 민간 기업이 참여함으로써 민간 우주 탐사 시대에 한 발짝 다가섰다.
누리호의 성공적인 발사는 한국 우주 기술의 이정표
한국의 누리호(KSLV-II)가 5월 25일 전라남도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누리호의 3번째 발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하며 이번 발사를 통해 다양한 위성 운용 및 우주 탐사 능력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완벽한 이륙 및 위성 배포
누리호는 이날 5월 25일 오후 6시 24분 고흥나로우주센터 제2발사장에서 이륙했다. 발사 123초 만에 1단 분리에 성공한 데 이어 2분 뒤 2단 분리에 성공했다. 누리호는 오후 6시 37분경 차세대 소형위성 2호를 고도 550km 상공에 성공적으로 배치한 데 이어 제스텍위성, 루미르위성, 카이로스스페이스, 도요샛을 20초 간격으로 배치했다. 현재 4기의 도요샛 위성 중 1기의 배치 상태를 확인 중이다. 누리호는 연료가 고갈될 때까지 궤도를 선회한 뒤 오후 6시 42분 비행을 마쳤다.
누리호 - 대한민국 우주기술의 자랑스러운 성과
누리호는 2010년 개발이 시작된 이래 고도 600~800km의 지구 저궤도까지 1.5톤의 탑재체를 운반할 수 있는 우리의 순수 기술로 제작된 위성발사체입니다. 2021년 1차 발사 실패에 이어 지난해 2차 발사에서 인공위성을 궤도에 진입시키고 배치하는 능력을 성공적으로 시연했다. 차세대 소형위성 2호와 큐브샛 7기 등 실용위성을 탑재한 이번 발사는 상용 발사 서비스의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민간부문의 참여와 한국의 항공우주 선진화
종합시스템통합기업으로 선정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 전 과정에 참여하는 것은 의미 있는 발전이다. 기술이전을 통해 설계, 생산, 운영까지 가능한 한국형 스페이스X의 등장에 기대감이 커진다.
짜릿한 누리호 발사 성공
누리호는 5월 25일 오후 6시 24분 천둥 같은 함성과 함께 8개의 게스트 위성을 싣고 첫 비행을 했다. 길이 47.2m, 무게 200t에 달하는 육중한 몸이 엄청난 위력으로 하늘로 치솟았다. 누리호는 순식간에 하늘로 날아올랐고, 불과 1분여 만에 구름 뒤로 사라졌다. 1단계 엔진 셧다운과 성공적인 페어링 분리를 업데이트할 때마다 안도감이 생겼습니다.
댓글